토토 사이트 꽁 머니

조은오산병원


상담 및 예약 1544-5333 (진료시간 : 평일 8:30 ~ 17:30, 토요일 8:30 ~ 12:30, 점심시간 12:30 ~ 13:30) / 응급실 안내 031-373-8119

라이프스타일센터(항노화센터)

시민의 건강과 함께 합니다.

Home > 진료전문센터 > 라이프스타일센터(항노화센터)

고혈압 이렇게 치료해보세요

박병강 2018-05-12 10:25:57 조회수 3,640

깜빡 깜빡하지 않으세요? 혹시 치매 초기증상이 아닐까 걱정이 많으실텐데요. 60세 이상이 되면 치매나 파킨슨병이 아니더라도 뇌인지 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뇌사진으로도 확인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일상 생활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간과하기 쉽죠. 

 

뇌경색 사진.png

 

 오른쪽 사진에 있는 흰점들은 뇌의 백질에 위치하는 작은 혈관들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한 허혈성 병변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혈관의 노후가 가속화되면 혈관성 치매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동맥경화진행.png

 

 

이 처럼 혈관 내벽에 미세 염증이 반복되면서 지방과 칼슘 등이 쌓여 플라그가 만들어지고, 어느 순간 출혈이 일어나면 혈전이 발생하여 심장혈관을 막게되면 급사할 수도 있으며 뇌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발생합니다. 잇몸염증이 생기면 이를 닦는 자극에도 출혈이 일어나는 것과 비슷하지만 혈관 속에서 피가 엉어리지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혈전.png

 

 

 이러한 혈관 내벽의 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흡연, 비만, 스트레스, 콜레스테롤, 호모시스테인 등 여러 요인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예방 인자는 혈압입니다. 높은 혈압을 방치하면 아주 작은 망치로 혈관 내벽을 24시간 때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동맥이 노후됩니다.

 

shattered glas.png

 

동맥 경화를 방치하면 망막, 콩팥, 심장, 신경 등 우리 몸의 모든 부분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지만 전혀 증상이 없을 수 도 있습니다. 신체 혈관 중에서도 망막 혈관이 제일 약한 곳으로 망막병증이 있어도 시력에는 아무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고혈압성 망막병증.png

 

 

혈관 건강이 바로 생명의 척도라고 할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데,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의 내-중막의 두께를 측정해보면 전체적인 동맥의 노후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전혀 아프지도 않고 시간도 몇 분 소요되지 않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경동맥초음파검사.png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1mm를 넘었다면 말초혈관 손상이 의심됩니다. 이 검사를 받기 어렵다면 평상시에 혈압을 잘 측정해보세요. 최소한 5분 이상 안정한 후에 잰 혈압이 14/90을 넘는다면 바로 혈압 관리에 들어가야 합니다. 처음부터 약을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달리기.png

 

 체중만 조금 감소시켜도 혈압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60kg의 여성이 1kg만 줄여도 5~10 mmHg의 수축기 혈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싱겁게 먹거나 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을 병행하면 더욱 혈압을 낮출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은 바로 고혈압 치료입니다.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식욕을 억제하며 혈관 이완 물질을 분비시키기 때문입니다. 바로 운동을 시작해보세요.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밥이 보약이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생활 습관병의 치료적 순서는 약물 치료보다 생활 습관 개선이 먼저 요구됩니다. 일견 쉬워 보이는 음식조절이나 규칙적인 운동을 일상 습관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이뉴는 스트레스와 연관된 중독 차원의 생활습관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생활 스트레스는 단순히 심리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정신 생리 수준의 무의식적인 뇌와 내분비계의 반응이며 습관적 행동은 변화된 학습의 결과입니다. 이러한 복합적 문제를 접근하기 위해서 중독증후군의 모델을 이용하여 생활습관을 바라보고 가정의학의 포괄적 진료를 행동 의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실천한다면 생활습관병을 치료하는데 특히 잘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풀어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생활습관병에 대한 행동의학적 접근